마이크로컨텍솔은 반도체 검사용 소모품인 IC Socket을 제조 판매하는 업체입니다. 반도체 관련주로 움직임이 있어왔습니다. 그외 특별히 눈에 띄는 다른 이슈는 없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마이크로컨텍솔의 최대주주는 양승은외4인으로 21.4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3075원을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256억이며 pbr은 0.70입니다. 시가총액이 굉장히 작은 종목입니다. 이러한 시가총액이 형성된데에는 실적이 주요 이유로 작용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지지 저항선은 5000원입니다. 바닥은 3000원선에서 단기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컨텍솔의 주가 우상향을 위해서는 5000원을 뚫고 지지가 나와야 할것으로 보이는군요. 최근 삼성전자의 폴더블폰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반도..
지난 9월 14일 경북 구미에 있는 톱텍 본사가 수원지방검찰청 형사1부에 의해 압수수색되었습니다. 3D 라미네이터 제작 기술을 중국에 유출한 혐의로 조사가 들어간것입니다. 3D 라미네이터란 휴대폰 에지 디스플레이를 제작 할수있는 자동화 장비를 말합니다. 원래 이러한 압수수색은 산업기술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위반과 삼성디스플레이와의 영업비밀 침해 혐의에 관한 사항에 대해 불법이 있었는지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톱텍이 이러한 3D 라미네이터를 삼성디스플레이에 공급해야 하는 기술을 중국기업에 판매하려 했다는 혐의가 있다고 의심받는 상황인데요. 불행중 다행인지 톱텍에서는 빠르게 다음과 같은 공지를 홈페이지에 하였습니다. 하지만 톱텍의 주가는 이미 굉장히 많이 빠져있고 주주들은 그..
앤디포스가 상승세입니다. 오늘 무려 25.04%나 급등한 상태인데요. 일단 재료는 폴더블,플렉서블 스마트폰 관련하여 있는것 같습니다. 정확한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이러한 이슈밖에 체크할수가 없네요. 차트상으로 거래량이 붙으며 잠시 시세가 나온후 눌림을 준후 직전 고점을 갱신하며 상승이 나오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차트 움직임인데요. 앞으로 꾸준히 지켜보며 상승을 노려보는것도 나빠보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6000원 저점을 깨버린다면 안보는것이 좋아보이네요. 사실 앤디포스가 플렉서블,폴더블과 특별히 관계가 있을거라는 생각은 안드는데요. 아직은 조금더 이슈를 지켜봐야 할거라 보입니다. 외국인이 159억 빠져나갔습니다. 참고해야할 사항으로 보입니다. 대주주의 지분이 많고 시총이 그리 크지 않은 종목입니다. 앞으..
나노신소재는 디스플레이 패널, 박막형 태양전지,반도체CMP공정에 투입되는 소재를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주요 테마는 플렉서블,OLED 입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나노신소재는 금속원재료를 매입하여 나노파우더로 제조한후 이를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전극용 재료 타겟과 반도체 평탄화 공정에 활용되는 소재 슬러리등으로 출하하고 있습니다.디스플레이소재에서 가장 많은 비중의 매출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대주주는 박장우외8인으로 36.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가 18350원을 기준으로 시가총액은 1991억이며 pbr은 2.36입니다. 나노신소재는 2015년에 급등흐름이 있었습니다. 플렉시블 핵심소재인 은나노잉크의 성장성이 부각되고, 무상증자 이슈로서 급등이 나왔는데요. 무상증자가 완료되고 나노신..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13110250505145 작년말부터 폴더블 스마트폰 이야기가 나왔었습니다. 작년9월에 써놓은 폴더블 혹은 웨어러블 관련 이야기가 있어 링크를 해봅니다. http://suriable.tistory.com/107 이때는 아이컴포넌트를 이야기 했습니다. 이번에는 다른 종목을 한번 보도록 하죠. 상보라는 종목입니다. 현재가격은 2180원입니다. 상보는 디스플레이 소재 필름인 광학필름, 차량 및 건축용 윈도우 필름 등 각종 특수 필름 사업을 하고있는 회사입니다. 가면 갈수록 매출이 줄어드는 모습과 지속적인 영업이익 적자가 눈에 띄는군요.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7111..
http://www.kbench.com/?q=node/185065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칩으로 알려진 Neural Processing Unit (NPU) 칩셋 개발을 거의 완료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게 생각보다 다른 경쟁업체보다 늦네요. 이미 뉴럴 프로세싱 유닛의 개발은 아이폰8과 아이폰X에 탑재된 A11과 중국의 화웨이의 메이트에 탑재된 기린970이 있었거든요. 뉴럴 프로세싱 유닛(NPU)는 구글의 딥러닝 같은거라고 간단히 생각하시면 될것 같아요. 그러니까 알파고 말이에요. 학습의 기능이 있는겁니다. 다만 전력문제가 있어서 (작은 모바일에 들어가는것이기에) 그 기능이 조금은 제한되는것이겠지요. 삼성이 애플은 물론 화웨이에도 이러한 기술이 뒤쳐졌다는건 사태를 조금 다르게 보게 만드는군요. 늦은 만..
- Total
- Today
- Yesterday
- 이재명 관련주
- 이낙연 관련주
- 상장폐지
- 디스플레이 관련주
- 실적
- 주식공부
- 화장품 관련주
- 방산주
- 품절주
- 반도체 관련주
- 철도 관련주
- 가스관 관련주
- 관련주
- 남북경협
- 5G 관련주
- 비트코인
- 전기차 관련주
- 주식
- 최대주주변경
- 테마주
- 남북경협주
- 일자리 관련주
- 가상화폐
- 바이오 관련주
- 중국 관련주
- SOC 관련주
- 대북주
- 철도주
- 바이오
- 신규상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