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PBR이란 주가/주당순자산 혹은 시가총액/순자산을 말합니다. 


주당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이해가 되시나요? 


당장 이렇게만 써놓으면 그래서 뭐 어쩌라고? 라는 소리를 듣겠지요.




그래서 조금더 간단하게 말하자면


장부상의 회사가치를 따져서 주식의 수로 나눈겁니다. 




발행주식이 모두 합해 10주인 회사를 가정해봅시다. 


현재 이 회사의 주식은 주당 1000원입니다. 


총 10주니까 이회사의 시가총액은 만원이지요? 



그런데 이 회사의 장부상 가치는 20000원 이라고 나옵니다.


이럴때 PBR은 


시가총액(만원)/장부상의 순자산(2만원) 


2만 나누기 1만 = 0.5


가됩니다. 



그냥 간단하게 생각해서 시가총액이 2만원은 되어야 장부상의 순자산 가치와 


맞게된다는거죠. 


그렇다면 주식은 2000원까지 오를수 있는 명분을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 PBR이 1이하인 종목을 저평가 종목으로 보기도 합니다. 


(물론 모두다 그런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수리에이블님 PBR이 낮은 종목을 고르면 수익이 나겠네요?




이런 질문이 있을수 있겠지만 꼭 그런것만은 아닙니다. 


이유는 기업의 순자산을 정확히 측정해내는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알수 없는 또 다른 이유로 순자산이 높게 평가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렇기에 장부상의 순자산이라고 써놓은것입니다. 


실제 청산가치는 장부상의 순자산보다 낮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PBR은 부채에 대한 반영분이 없습니다. 


부채가 그대로 순자산에 포함된다는것이지요.


그래서 부채도 함께 살펴봐야합니다. 


부채가 높으면서 PBR이 낮은것은 조금더 생각을 해봐야겠지요? 



또 업황이 안좋은 회사들은 PBR이 1이하인 종목들이 많은데요.








현대건설과 GS건설은 대기업 건설사지만 위와 같은 낮은 PBR을 보이고 있습니다. 


건설사의 업황이 별로 좋지만은 않기 때문이지요. 





우리들제약은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관련 테마주였습니다. 


보시다시피 PBR이 2014 2015 2정도를 유지하다가 대선주의 절정이 었던


2017년 1분기에는 6을 넘는 PBR을 선보였습니다. 


대선이 끝나자 급락하여 다시 원래의 PBR수준으로 내려오는것이 보입니다. 




PBR로 재무제표를 분석하여 저평가주를 잡을때는


낮은 PBR을 선호하지만 100%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반면 높은 PBR은 피하는것이 상책입니다. 





PBR은 유상증자나 사채를 발행하여 낮출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훼이크성 저 PBR종목을 조심해야하는데요.




현진소재는 2014년 부터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종목입니다. 


계산상 주가가 떨어지면 PBR은 낮아지는것이 맞지요?





하지만 현진소재는 신기하게도 주가가 떨어질수록 PBR이 상승합니다. 


이유는 부채를 갚아가는 과정에서 부채로 인한 자산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자본총계도 점점 수렁으로 빠지고 있네요.



2014년 PBR이 낮다는 이유로 현진소재를 선택하신 분들은 지금쯤 배신감을 느끼지 않을수 없겠지요?



PBR은 분명 좋은 지표입니다. 


재무제표를 분석할때 제가 항상 살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변수가 있음을 알고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다음편에 재무제표 분석에 필요한 지표에 대해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를 간단히 분석하는 방법 1편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에 관해 다루었습니다. 


링크를 클릭하시면 새창으로 넘어갑니다. 




재무제표를 간단히 분석하는 방법 1편


http://sasuri.tistory.com/62













 


 




댓글